본문 바로가기

기획하기: '서비스'/재료: 트렌드 파악하기

(3)
늘어나는 AI 컨텐츠에 대한 우려, 보이콧, 그리고 대책은? AI의 발전으로 AI가 만든 창작물이 늘고, 우려도 커지고 있다. 'AI웹툰 보이콧'은 현대판 '러다이트 운동'이라고 한다. 다만 이러한 AI 생성 콘텐츠로 인해 AI 모델이 스스로 붕괴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 현재 모바일 가독성은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 PC 버전을 이용해주세요. AI 생성 콘텐츠로 훈련한 AI 모델은 '붕괴' https://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51686 AI 생성 콘텐츠로 훈련한 AI 모델은 ‘붕괴’ - AI타임스 인터넷에 공개된 콘텐츠로 훈련하는 생성 인공지능(AI) 모델에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챗GPT’나 ‘스테이블 디퓨전’ 같은 생성 인공지능(AI) 도구가 발달하면서 인터넷 ww..
메타의 새로운 SNS, 트위터와 다른 점은? 메타(페이스북)가 새로운 SNS를 출시한다. 기존의 인스타그램, 페이스북과 비슷하지만 글로만 소통한다. 트위터를 겨냥했다고 할 수 있다. 새로운 SNS가 과연 트위터를 치고 올라갈 수 있을까 ※ 현재 모바일 가독성은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 PC 버전을 이용해주세요. 메타 '트위터 대항마' 새 SNS, 이르면 내달 공개 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3224705 메타 ‘트위터 대항마’ 새 SNS, 이르면 내달 공개 페이스북의 모회사인 메타플랫폼(메타)이 텍스트 기반의 새로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다음달 선보일 예정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미 캘리포니아주 UCLA의 소셜 및 인플루언서 마케팅 교수인 n.news.naver.com 23년 5월 20일자 기사...
챗GPT와 바드의 비교, AI챗봇 경쟁의 심화 AI 챗봇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단연코 현재 시점에서 가장 유명한 챗봇은 '챗GPT'겠다만, '바드'를 주목하자. ※ 현재 모바일 가독성은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 PC 버전을 이용해주세요. 카테고리 분류를 할 때가 온 것 같다! 평소에 관심 분야의 기사가 보이면 내 카톡으로 보내놓곤 했는데, 언젠간 정리해야지 싶다가 '기사'의 특성상 바로바로 기록해둬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가져온 23년 5월 11일자 기사. [챗GPT vs 바드] 두 AI 챗봇에 같은 질문해보니... 답변은 [챗GPT vs 바드] 두 AI 챗봇에 같은 질문해보니…답변은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구글이 인공지능(AI) 챗봇 ‘바드’를 전면 오픈하면서 오픈AI의 챗GPT와 본격적인 경쟁이 전개될 전망이다. 순다르 피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