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자의 역량이 무엇인지 궁금하다면, 그리고 기획을 잘하고 싶다면 반드시 이 책을 읽어야 합니다.
네이버의 브랜드 기획자로 일하고 있는 저자가 인사이트를 얻는 방법을 독서로써 소개합니다.
※ 현재 모바일 가독성은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 PC 버전을 이용해주세요.
기획자의 독서
@저자 김도영
네이버 브랜드 기획자가 기획자로 살아남는 법과 독서에 대해서 알려준다.
요약하자면 기획자, 독서니 제목 또한 참 고심해서 지은 것 같다.
기획자는 무슨 생각을 하면서 일할까?
첫 직장은 챗봇 회사였고 데이터 라벨링 및 컨설턴트가 내 직무였다.
이직 시장에서 내 직무를 선택하려니 뭔가 애매했다.
데이터 분석가, 컨설턴트, PM, PO... 그 모든 것에 해당하면서 아무것도 해당하지 않았다.
그렇지만 이직을 생각하던 즈음부터 꼭 서비스 기획자가 되고 싶다는 생각이 있었다.
다만 어떻게 해야할 지를 몰랐다.
개발자라면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고, 코딩 테스트를 보고
데이터분석가라면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고, 프로젝트에 참여해볼텐데
기획자는 자격증도 없고 무엇을 베이스로 해야할지도 모르겠더라.
운 좋게(?) 책을 읽기 시작하던 즈음 기획자로 이직에 성공했다.
그리고 역시나 좌절했다.
다만, 그 좌절은 나의 부족함에 대한 것으로 직무에 대한 의지는 꺾이지 않았다.
기획을 잘 할 수 있을 것만 같으면서도 어떻게 해야할지, 뭘 해야할지 모르겠던 때에
읽은 이 책이 생각을 정리하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더불어, 살짝 벽에도 부딪힌것 같다. 공부해야할 것도 너무 많아보인다.
(아니 작가님 너무 대단하잖아요....)
하여튼, 가장 좋았던 건 잊고 있었던 독서에 대한 열정을 불지펴줬다는 것이다.
기획자로 살아남기 위해 개인마다 무기를 가져야 하고, 작가님의 무기는 독서라고 한다.
(독서가 취미가 아닌 특기라니!)
작가님 글을 읽고있자니, 아는 선배가 친근한 말로 자기 얘기를 해주는 것 같아서
읽기도 쉬웠고 또 많은 부분이 공감이 되어서 책을 다 읽었을 때에는 친한 친구가 된 것 같았다.
IT 업계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면 대게 그렇겠지만,
네이버는 꿈의 회사인데, 그 이유로 작가님이 한 줄 더 추가되었다.
네이버에 입사해서 음료수 하나와 함께 찾아가서 '작가님 팬이에요!' 라고 인사하고 싶다.
책 속의 공감되었던 문구, 그리고 내 생각
※ 책 내용이 아니라 개인적인 제 생각이 자리하는 만큼 다양한 의견을 환영합니다.
23p 메모
과거를 돌릴 수는 없다. 후회하지 않는 삶을 살기로 했지만 때때로 후회가 될 때,
내가 가진 것들을 더 크게 만드는 방법만 생각해보자.
41p 메모 - 점심 시간을 활용해서 책을 읽다.
이 부분을 읽으면서 점심시간에 책을 읽는다고? 나는 뭐했지, 자거나 놀았는데... 라고 생각했다.
30, 40대가 되어서 나의 20대를 돌아보면 '사람'이 남을 것 같다.
좋은 사람만 많이 남으면야 좋겠지만 그냥 말 그대로 사람에 목매서 술도 많이 마시고 항상 눈치보고 피곤했다.
약속이 매주 있다고 하니 첨엔 내 얘긴줄 몰랐던 부모님도 "누가 그래. 연예인이야?" 했으니까.
48p
'무엇인가를 기획하는 일은 그저 멋진 아이디어만 있으면 다 해결되는 줄 알았더랬습니다.'
'나는 앞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이 되어야 하는 거구나'
'지름길이 아니어도 좋으니 그저 길 비슷한 것이라도 보이면 좋겠다 싶었죠.'
55p 메모 - 편식하는 독서에 대해서
책을 안 읽게 된 계기는 바빠서, 놀기 좋아서 보다도 이런 시선때문이었던 것 같다.
소설 중에서도 추리 소설만 편식하긴 했는데 그마저도 읽지 말라고 하니 아예 손을 뗏지
64p 메모 - 이유를 찾다보면 조금 더 선명해질지도 몰라
추리물을 좋아하는데, 보통 추리물은 결말을 알면 다시 보기 싫어하잖아?
난 다시 보면서 작가가 깔아놓은 복선, 미쟝셴 찾기를 좋아해.
특히 이제는 추리 짬밥이 있으니 시작부터 화면이나 페이지를 멈춰가며 보곤 했는데 그 모든 게 빗나갈때도.
물론 아주 뜬금없으면 안되지만.
다만 내가 좋아하는 영역을, 영역의 어떤 부분을 일과 결합시킬 수 있을지는 아직 잘 모른다고 생각했는데,
어쩌면! 나야말로 딥다이브(56p)의 준비가 된 것 아닐까?
결말이 정해진 추리물도 두세번씩 보는데 어떠면 성장 시절 or 성격과 연관지을 수 있을지 몰라.
추리물을 보면서 왜? 왜 이건 복선이 아니지? 했던 마인드로 방법을 찾아나가는거지
71p
'제 나름의 '기획 연습'이기도 합니다.
글을 쓰고, 책을 펴낸 사람이 기획해놓은 부분들을 따라가며 이해해보는 그 과정이 늘 흥미롭거든요.'
76p 메모
'좋은 브랜드를 만들어가는 것이 마치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 스스로 노력하는 과정과도 닮아서, 저는 브랜딩이 참 좋습니다.'
아까 전까지만해도 '무엇이 왜 좋은가?'라는 질문에는 대답 못해도 성공하고 싶단 이유는 알 것 같았다.
'그냥요.' 라고 대답해도 멋있어 보이니까. (일단 성공해라 그럼 똥을 싸도 어쩌구저쩌구...)
이 페이지에 오고 나서야 그들이 한 줄로 대답하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고민이 있었는지 알 것 같다.
좋아하는 이유를 찾기 위해 노력하자.
102p 메모 - 서점에서 사람 구경을 즐기며
일전에 어디서 본 것 같은데, 기획자는 사용자의 '행동'에 집중해야 한다고 한다.
내가 왜 기획이 좋을까를 생각해보면 사람의 행동을 예측하고 검증하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인 것 같다.
136p 메모 - 넬 '기억을 걷는 시간'의 가사에 대하여
나한테도 인생곡인데,
이 사람은 인생곡임에도 (울컥하는 강렬함을 마주했음에도) 상대는 그렇지 않을 수 있겠다. 라는 생각까지 했구나.
내 강렬함이 내 감정에서 그치지 않고 다른 것과 연결지어 생각할 수 있는 통찰력이 부럽다.
평소에도 많이 생각하기 때문이겠지.
137p 메모
대체적인 생각도 비슷하고, 일하는 습관도 비슷한 것 같고, 등등등 네이버에 갈 수 있는 차이가 뭘까.
내 생각에 레벨을 둬야겠다. 단순한 생각부터 보다 엮여서 힘을 낼 수 있는 생각까지.
아직도 정리가 안되서 글도 안써지네. 하튼 뭘 해야할진 아직도 잘 모르겠지만 이 타이밍에 나온 다음 곡은 예술이다.
Hitomiwo Tojite/눈을 감고 - Tim Hardin Trio
181p 메모 - 정반합, 원하는 책을 산다 vs 사 모은 책 중에 원하는 것을 읽는다.
나는 반반..이지만 Anti에 가깝지 않나.
읽을 책을 산다고 빋는데, 결국 책장에만 있으니. 또 그럴걸 알면서도 또 책을 사니까 반반이 맞을지도?
그렇다면 이건 내가 찾은 정반합일까나
202p
'근사한 와인 바가 하나 있는데 퇴근 무렵이 되면 어른들이 술을 한잔 시켜놓고 잠시 책을 읽는 게 그렇게 멋있을 수가 없는 거예요. 그때 친구와 약속했어요. '우리 이 다음에 어른이 되면 꼭 저 술집에 가서 책을 읽는 거야!'라고 말이죠.'
- 파리의 대학생들
236p 메모 - 베스트셀러가 나쁘지만은 않다.
나도! 중2병이더라도 유행 파악은 확실히! 그리고 또 그래야 나만 좋아하는 것을 찾지 않겠나~
285p
'기획자로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무게 중심'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내가 어떤 가치를 추구하는 사람이고 어떻게 일을 풀어가는 사람인지에 대한 스타일 정도는 정립되어 있어야 하는 거죠.'
''아, 이건 그 사람이 정말 잘할 것 같은데'라는 인식을 심어주는 게 중요하다고 봅니다.'
'기획하기: '나' > 재료: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기업에서의 신사업 기획 방법 (추천: 대기업 기획자의 고백) (0) | 2023.07.03 |
---|---|
기획자 커뮤니케이션 방법 (추천: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 지식) (0) | 2023.05.30 |
'너진똑'을 아시나요? (1) | 2023.05.18 |